
전 세계적으로 그 이름을 자랑하는 3대 명품커피는 오래전부터 커피를 재배한 예멘의 모카, 스모크 한 향으로 유명한 블루마운틴, 좋은 향미와 산미로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하와이완 코나가 있다. 1. 예멘의 모카 모카커피(Mocha Coffee) 원산지인 예멘(Yemen)은 세계에서 가장 전통적인 방법으로 커피를 생산하고 있다. 가내수공업 방식으로 커피를 가공하고 여전히 맷돌을 사용하고 있다. 커피의 귀부인 칭호를 받는 예멘 모카커피는 자메이카 블루미운틴, 하와이안 코나와 함께 세계 3대 명품 커피로 인정받고 있다. 예먼은 세계 최초로 커피로 경작된 품종인 아라비카 커피의 원산지이다. 모카커피의 이름은 한때는 세계 최대의 커피 무역항이었던 모카에서 유래되었다. 지금은 예먼과 에티오피아에서 생산된 커피..

중남미에서 스모크 커피로 유명한 나라 과테말라, 세계에서 가장 많은 커피를 생산하여 수출하는 나라 브라질, 유기농 커피 생산으로 유명한 멕시코, 각 원산지별 커피의 특징에 대해 아래의 글에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과테말라(Guatemala) 커피 주로 화산토 지역에서 커피를 경작하고, 고급 스모크 커피(Smoke Coffee: 타는 듯한 향을 가진 커피)의 대표인 안티구아가 유명하다. 1750년대 커피가 처음 소개되었고, 19세기 초반부터 본격적인 생산이 시작되었다. 아라비카 품종인 티피카(Typica)와 버본(Bourbon)을 주로 경작한다. 과테말라는 미네랄이 풍부한 화산재 토양이고 건기와 우기가 뚜렷하고 일교차와 습도차가 커서 커피 재배에 이상적인 기후 조건을 갖고 있다. 태평안 연안지..

향미가 좋은 커피를 생산하는 코스타리카, 블루마운틴 커피로 유명한 자메이카, 세계 최대 커피 생산국중의 하나인 콜롬비아등 중남미에서 커피를 생산하는 세 원산지별 커피 특징과 환경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1. 코스타리카(Costa Rica) 커피 코스타리카는 아라비카종만을 재배할 수 있으며, 커피의 품질을 가장 좋은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습식 가공법을 사용하여 커피를 생산한다. 1779년 쿠바를 통해 커피가 처음 도입되었고, 1808년부터 재배를 시작했다. 1820년부터 커피 수출을 시작하였고 지금도 3대 수출품 중의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무기질이 풍부한 화산토양과 온화한 기후로 커피 생산국 중에서 단위 면적당 커피 생산량이 가장 높고 커피 품질도 뛰어나다. 대표적인 커피산지로는 산 호세..

커피의 원산지로 많은 토착종을 가진 나라 에티오피아, AA등급의 커피로 유명한 케냐, 흙냄새와 거친 맛의 커피를 생산하는 나라 탄자니아등 아프리카 세 나라의 커피가 가지는 특징에 대해 서술하도록 하겠습니다. 1. 에티오피아의 하라와 시다모 에티오피아는 아라비카 커피의 원산지이며 아프리카 최대의 생산 국가이다. 자국에서 생산된 커피의 40%를 소비하는 나라로 일상생활 속에 커피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커피에 대한 자부심이 높고 아프리카에서도 커피 소비가 제일 많은 나라이기도하다. 적도 근처의 고산지대는 커피 재배에 가장 좋은 환경이지만, 낙후된 시설과 빈약한 자본 때문에 전통적인 유기농법, 그늘 재배, 건식법으로 커피를 많이 재배한다. 1972년 이후 습식법이 시작되어 대규모 공장이 생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