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커피는 생두를 정제, 건조, 로스팅과 같은 가공과정을 거쳐 커피 추출액이 된다.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물이 꼭 필요하다. 실제로 커피 추출액의 구성요소 중 고형성분은 단 2%에 불과하고 나머지 98%가 물이다. 그래서 커피 맛에서 물의 영향은 상당히 큰 편이다. 같은 원두를 사용하여 추출을 해도 사용하는 물의 성분에 따라 완전히 다른 향미를 낸다. 그러므로 물을 제외하고 원두만으로 커피의 맛을 조절하는 것은 한계가 있어 보인다. 그러면 어떤 물을 커피에 적용해서 써야 할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1. 물의 종류
요즘에는 편의점, 마트, 슈퍼 등에서 손쉽게 해양심층수, 암반수, 알칼리수 등 다양한 종류의 물을 구입할수 있다.
① 경도에 따른 분류
경도란 물에 포함된 마그네슘과 칼슘 양을 탄산칼슘으로 환산한 값이다. 환산값은 1㎎/ℓ 를 경도 1로 표시한다. 이 값이 클수록 물속에는 미네랄 같은 광물질과 염류가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다. 경도가 높은 물을 경수라고 하며 천연수 또는 센물이라고 말한다. 석회암 지대나 내륙분지, 호수나 지하수에는 경수가 많다. 반대로 경도가 낮은 물은 연수로 부른다.
(단위: ㎎)
탄산칼슘의 함유량 | 50이하 | 50~100 | 100~150 | 150~250 | 250이상 |
분류 | 연수 | 보통연수 | 약연수 | 보통경수 | 경수 |
커피에서 경도는 마그네슘과 칼슘의 함량을 보고 평가한다. 물속에 있는 미네랄 성분은 양전하 부분을 가지고 다양한 산, 유기화합물이 있는 음전하를 가진 성분들을 끌어당겨서 추출 에너지를 높이게 된다.
너무 적은 미네랄 성분은 추출력이 약해 커피성분을 많이 뽑아내지 못하며, 과도하게 많은 미네랄 성분도 오히려 커피를 추출할 때 방해요소가 된다.
② 수원지에 따른 분류
지하수 underground Water |
빗물은 증발하는 것을 제외하고 대부분 땅이나 지층, 암석 사이로 들어가는데 이곳에 흐르는 물을 지하수라고 부른다. 물속에 무기질이 녹아있기 때문에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다. 암반수, 광천수, 용천수등이 지하수이다. |
빙하수 Glacial Water |
빙하가 녹아서 생긴 물을 마실 수 있게 정수한 것이다. 지구상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담수자원인 빙하는 오염되지 않아서 불순물이 적고 수질이 매우 좋다. 약알칼리성을 띄며 소량의 천연 원소가 포함되어 있다. 각종 성인병 예방에 효과적이다. |
해양심층수 Deep Ocean Water |
태양빛이 닿지 않는 깊은 바다 속에 흐르는 물을 해양 심층수라고 부른다. 광합성에 의하 유기물질의 생산보다 분해가 더 활발하기 때문에 병원균 같은 유해물질이 적고, 인과 질소등 영양분이 풍부한 것이 특징이다. 미네랄의 함유량은 해수면의 바닷물과 별반 차이가 없다. |
수돗물 Tap Water |
호수나 하천에서 끌어온 물을 일상생활에서 쓸수 있게 정수한 것이다. 수돗물은 오염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소독약품을 첨가한다. 이는 물이 공급되는 동안 번식할 수 있는 병원성 미생물을 방지하기 위해서 넣는데 주로 염소 성분이다. 염소는 특유의 강한 향이 있기는 하지만 휘발성 물질이기 때문에 상온에서 3~4시간정도 두면 자연스럽게 사라진다. |
정수물 Purified Water |
수돗물과 지하수를 필터에 걸러서 인공적으로 깨끗이 만든 물이다. 정수 방법에는 여과, 증류, 역삼투압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과 카페에서는 여과식 필터를 사용한다. 하지만 필터 내부에 세균이 쉽게 번식할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교환하는 것이 좋다. |
③ 커피머신과 물의 상관관계는?
커피머신을 설치할때 연수기나 정수기는 필수 품목 중의 하나이다. 연수기는 수돗물과 지하수에 섞여있는 칼슘, 마그네슘등의 양이온을 제거해 커피추출에 적합한 물을 만들어준다.
정수기는 수돗물 속의 염소를 걸러내 냄새를 없애고, 발암물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해 준다. 정수기를 거친 물은 대부분 약알칼리성으로 변하게 된다.
2. 브랜드별 물 테이스팅
① 생수 브랜드별 물의 성분
수원지 | 브랜드 | 칼슘 | 칼륨 | 나트륨 | 마그네슘 | 불소 | |
1 | 화산암반수 | 삼다수 | 2.5~4.0 | 1.5~3.4 | 4.0~7.2 | 1.7~3.5 | 불검출 |
2 | 화산암반수 | 백산수 | 3.0~5.8 | 1.4~5.3 | 4.0~12.0 | 2.1~5.4 | 0~1.0 |
3 | 천연암반수 | 평창수 | 13.94~19.99 | 0.67~0.82 | 6.05~7.63 | 2.39~2.79 | 0.0~0.18 |
4 | 지하수 | 아이시스 8.0 | 5.0~20 | 1.5~3.4 | 0.0~3.0 | 3.0~7.0 | 0~1.0 |
5 | 광천수 | 에비앙 | 78 | 1 | 3.8 | 24 | 0.2 |
6 | 지하암반수 | 피지 | 18 | 5 | 18 | 14 | 0.24 |
7 | 광천수 | 볼빅 | 9~15 | 5~10 | 10~15 | 6~12 | 0~1 |
8 | 지하암반수 | 와일드알프 | 42 | 0 | 1.97 | 12 | 0.02 |
9 | 용천수 | 오지 내추럴 스프링워터 | 2~20 | 0~5 | 20~80 | 4~10 | 0.1~0.5 |
10 | 빙하수 | 캐나다아이스 | 12~15 | 10~15 | 8~20 | 39~42 | 불검출 |
11 | 해양심층수 | 딥스 | 12~15 | 10~15 | 8~20 | 39~42 | 불검출 |
② 물의 종류에 따른 커피 향미의 특징
브랜드 | 물의 특징 | 커피 향미 특징 | |
1 | 삼다수 | 한라산의 현무암질 천연 화산층을 투과하여 만들어진 화산 암반수다. | 정수물과 큰 차이가 없는 맛, 커피가 가진 산미와 단맛을 잘 표현해준다. |
2 | 백산수 | 중국 지린성의 백두산 자락에서 취수한 물이다. 빗물이 화산 폭발로 생긴 암반층을 통과하며 자연 정수된 것이다. 미네랄이 풍부하고 특별한 향은 없지만 전반적으로 약간의 단맛과 부드러움을 느낄수 있다. | 커피가 가진 맛을 적당하게 표현해내는 무난한 맛. 밸런스 있는 커피로 카페에서 판매하기에 적당한 맛이다. |
3 | 평창수 | 강원도 평창군의 진조리 해발 640m에서 취수한 천연 암반수이다. 미네랄이 물 속에 적당하게 녹아있는 알칼리성의 물이다 | 커피가 가진 산미와 단맛을 잘 살려 균형잡힌 맛을 느낄수 있다. 최근에 바리스타들이 많이 사용하는 물이다. |
4 | 아이시스 8.0 | 속리산 기슭의 지하 200m에서 끌어낸 천연 암반수로 칼슘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과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의 양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약간의 단맛을 지니고 있으며 가벼운 바디가 느껴진다. | 정수물과 큰 차이가 없는 맛, 커피가 가진 산미와 단맛을 잘 표현해준다. |
5 | 에비앙 | 알프스 산맥에서 취수한 물로 해발 4,800m의 알프스 만년설이 빙하 퇴적층을 일정한 속도로 통과하면서 자연적으로 여과된 것이다. 풍부한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유의 산소향이 느껴진다. 매끈한 바디와 단맛이 특징이다. | 칼슘과 마그네슘 함량이 많아서 커피가 잘 추출된지 않아서인지 밋밋한 맛이 난다. 커피의 쓰고 텁텁한 맛을 느낄수 있다. |
6 | 피지 | 피지 제도의 비티레부섬 일대에 내린 폭우가 화산암에 의해서 자연 정수된 것으로, 지하 대수층에 있던 물을 취수한 것이다. 단맛과 함께 레몬의 은은한 신맛이 느껴진다. | 쓴맛이 강하게 느껴진다. |
7 | 볼빅 | 프랑스 오베르뉴지방의 볼빅 계곡에서 취수한 물이다. 오랜 시간 화산탄의 자연 삼투층을 거쳤으며 미네랄이 적절하게 함유되어 있다. 광물질의 매끈하고 부드러운 맛과 깔끔한 뒷맛을 느낄수 있다. | 미네랄이 균형있게 들어있는 물로 묵직한 바디감을 느낄수 있다. |
8 | 와일드알프 | 알프스의 와일드 알펜에서 취수한 베이비 워터. 다량의 천연산소가 들어 있으며 특히 유아가 마시기에 적당한 양의 칼슘, 불소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다. 특별한 향은 없으며 전체적으로 단맛과 부드러움이 균형을 이룬다. | 칼슘함량이 높은 물로 커피가 가진 성분을 다 끌어내지 못해서 그런지 커피의 캐릭터가 살아나지 못했다. |
9 | 오지 내추럴 스프링워터 |
호주의 청정지역인 퍼스에서 취수한 천연 용천수이다. 향은 없지만 가벼운 바디, 부드러운 목넘김과 깔끔한 뒷맛이 특징이다. | 나트륨이 많은 오지 워터는 커피로 내리면 부드러운 맛이지만 뒷맛이 텁텁하다. |
10 | 캐나다 아이스 | 캐나다 벤쿠버 섬의 빙하 지역인 로즈월 크릭 주립공원 내의 산 정상에서 흘러내린 빙하수를 필터로 살균 처리했다. 경도가 30mg/l 인 연수로, 박하 향과 청량감이 느껴지고 좋은 단맛이 난다. | 칼슘과 마그네슘이 많아서 경도가 높은 물로 단맛과 신맛이 적었다. 쓴맛과 떫은맛도 강하게 느낄수 있다. |
11 | 딥스 | 속초 인근의 동해 해저 500m에서 취수한 해양 심층수이다. 심층수는 해수면의 바닷물과 밀도차가 커서 섞이지 않고 대류에 의해 순환하므로 일반적인 바닷물과 성분이 전혀 다르다. 부드러우며 은은한 단맛과 깔끔함이 특징이다. | 커피를 볼륨감있고 생동감있게 만들어준다. 미네랄 함량이 높은 물로 찌르는 듯한 산미가 난다. |
함께 보면 좋은 영상: 생수 브랜드에 따른 커피맛의 차이 비교
3. 커피 추출에 적합한 물은?
연수는 산미가 있고 부드러운 커피를 추출할때, 경수는 개성이 강하고 쓴맛이 있는 커피를 추출할 때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물의 성분을 참고하여 커피 향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없애고 커피 본연의 향을 잘 살리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그래서, 커피를 추출할때 어떤 브랜드의 생수는 좋고 어떤 브랜드의 생수는 나쁘다고 말할 수는 없다.
우리가 추출하려는 커피의 캐릭터와 향미에 어울리는 물을 선택하면 된다. 커피에 들어있는 유기산 성분은 약산성을 띤다. PH가 높은 물은 극성이 높아지고 분자 간의 반발력이 높아지면서 용해도가 올라가게 된다. 과도하게 알칼리 성분이 많은 물은 커피가 가진 긍정적인 산미를 없애고 밋밋한 캐릭터의 커피를 만들 수 있다. 즉 커피 추출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친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에스프레소와 머신 그리고 에스프레소 추출 과정
에스프레소는 짧은 시간에 강한 압력을 가하여 추출하는 이탈리아식 커피로 지금은 전 세계 많은 사라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 에스프레소의 역사와 커피 머신 그리고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
eungabee.com
커피원두의 다양한 맛과 에스프레소 추출 원리
우리가 흔히 마시는 커피는 쓴맛만 있는 것이 아니라 단맛과 신맛 등 다양한 맛이 같이 포함되어 있다. 꽃향기와 같은 기분 좋은 산미와 짠맛 그리고 감칠맛까지 커피 한 잔에서 느낄 수 있다.
eungabee.com
에스프레소 추출: 추출분류와 추출농도 및 시간과 온도
에스프레소 추출은 탕제식, 침출식, 많이 사용하는 여과식, 머신에서 사용하는 가압식, 진공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에스프레소 속에 녹아 있는 커피성분의 비율인 추출수율과 농도의 관계를 살
eungabee.com
에스프레소 추출: 크레마와 추출조건과 변수
에스프레소 추출은 한잔의 완벽한 샷을 얻기 위해서 다양한 변수들을 꼼꼼하게 고려하여 조절해야 한다. 에스프레소 추출 시 생성되는 크레마에 대해 살펴보고 추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조건
eungabee.com
에스프레소 추출 과정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정리해본다. 1. 잔 예열하기 작은 잔(60~90ml)에 추출한 에스프레소를 담기 때문에 금방 식는다. 그래서 추출전에 잔을 예열하여 사용한다. 에스프레소 머
eungabee.com
에스프레소 추출시에 영향을 주는 5가지 추출 변수들
목차 1. 로스팅 포인트 로스팅 강도를 뜻하는 로스팅 포인트는 원두의 상태를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소로, 추출변수를 조정하기에 앞서 고려해야 하는 부분이다. 로스팅 포인트와 다른 추출변수
eungabee.com
에스프레소 머신의 종류와 다양한 추출도구들
에스프레소 내릴 때 사용하는 머신에는 수동식, 반자동, 전자동 머신이 있다. 터키식, 프렌치프레소, 핸드드립 등 다양한 도구를 이용하여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
eungabee.com
에스프레소 머신의 작동 원리와 머신의 유지 보수 관리법
에스프레소 머신의 작동 원리와 머신의 유지 보수 관리법
커피 추출을 위한 에스프레소 머신에 전원이 켜지면 배수관을 통해 공급된 물을 사용하여 에스프레소 추출이 이루어진다. 에스프레소 머신은 꼼꼼하게 관리할 경우 시간과 경제적 비용을 줄일
eungabee.com
에스프레소 머신의 외부와 내부구조
에스프레소 머신은 보일러의 압력과 모터를 이용하여 빠른 시간 안에 추출하는 현대식 추출방식이다. 현대 과학의 결정판인 커피머신이 발명되고 발달되면서 에스프레소가 이 시대를 대표하는
eungabee.com
에스프레소 머신: 가정용과상업용 그리고 전자동과캡슐머신의 특징
에스프레소 머신: 가정용과상업용 그리고 전자동과캡슐머신의 특징
1. 에스프레소 머신의 모델 가장 많이 보급된 모델의 머신은 인젝션 머신(Injection machine)이라고 부른다. 1961년 카를로 에르네스토 발렌테(Carlo Ernesto Valente)가 고안한 E61은 40여 년동안 에스프레소
eungabee.com
에스프레스 머신의 온도를 유지하는 방법: 보일러 시스템
에스프레스 머신의 온도를 유지하는 방법: 보일러 시스템
에스프레소 머신의 보일러는 커피의 맛과 향을 높이기 위해 계속해서 발전해 왔다. 에스프레소를 추출할 때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관리하기 위해서 보일러의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다.
eungabee.com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 다양한 도구들: 모카포트, 사이펀, 커피메이커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 다양한 도구들: 모카포트, 사이펀, 커피메이커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기구들은 다양하다. 유럽에서 오랫동안 사용해 온 모카포트, 진공상태를 이용하여 커피를 내리는 사이펀, 그리고 쉽게 이용가능한 커피 메이커가 있다.
eungabee.com
에스프레소의 시음 방법과 크레마 그리고 프레그런스, 아로마, 플레이버 용어 이해
에스프레소의 시음 방법과 크레마 그리고 프레그런스, 아로마, 플레이버 용어 이해
다양한 기구를 통해 추출한 에스프레소는 와인처럼 맛을 먼저 보고 시각적으로 크레마를 확인한 뒤에 커피에서 나는 향을 통해 떠오르는 것을 생각해 본다. 그리고 혀의 반응과 함께 입안에 남
eungabee.com
에스프레소 세팅을 할때 고려해야 될 사항
에스프레소 세팅을 하기 전에 먼저 카페의 컨셉과 상권에 맞는 컵 사이즈를 정해야 합니다. 1. 컵사이즈 ● 컵사이즈는 카페의 컨셉과 카페의 상권에 따라서 정해진다. ● 오피스 상권에 바쁜 테
eungabee.com
프리 인퓨전과 바리스타의 스킬
1. 프리인퓨전의 원리 ● 프리 인퓨전은 고압으로 추출하기 전에 추출수로 커피가루를 적셔서 추출이 잘 될 수 있도록 준비시켜 추출이 안정적으로 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이다. ● 핸드드
eungabee.com
바리스타의 역량: 에스프레소 머신의 추출 온도와 맛의 관계
바리스타의 역량: 에스프레소 머신의 추출 온도와 맛의 관계
1. 추출온도 ① 에스프레소 온도를 어떻게 세팅하는지에 따라서 추출 온도가 바뀐다. ● 분쇄도, 도징양, 추출시간, 추출 양을 똑같이 맞추어도 추출 온도를 다르게 설정하면 추출속도가 바뀌게
eungabee.com
그라인더 어떻게 선택할 것인가? 구매전 고려사항은?
그라인더를 선택하는 것에 대한 정답은 없다. 어떤 맛을 추구하며 어떤 환경에서 그라인더를 사용할 것인지 먼저 정해야 한다. 그리고 각 그라인더가 가진 특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그라인더를
eungabee.com
탬퍼의 종류와 구조 및 베이스의 형태와 재질
원두를 그라인더에서 분쇄한뒤에 포터필터에 담는다. 침칠봉, 탬퍼, 레벨링툴을 사용하여 분쇄된 원두를 고르게 담아준다. 이때 어떻게 하는지가 에스프레소 추출과 연관이 된다. 우리가 많이
eungabee.com
필터 바스켓의 종류와 VST필터와 IMS필터의 특징과 장점
필터 바스켓의 종류와 VST필터와 IMS필터의 특징과 장점
포터필터의 부품 가운데 분쇄원두를 담는 금속 재질의 필터로, 필터 인서트(Filter Insert)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지름이 54~58mm인 필터 바스켓을 사용하며 추출량에 따라 1잔용과 2잔용으로 나눌
eungabe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