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커피체리에서 생두를 분리하는 것을 가공이라 말한다. 커피체리는 외피, 실버스킨, 내피(파치먼트 스킨), 펄프(과육), 빈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런 빈을 분리해 내어 가공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는데, 건식법과 습식법, 그리고 이 두 가지 방식을 절충한 세미워시드 방법이 있다. 그리고 수확한 생두를 건조하는 방법으로 햇빛건조와 기계건조가 있다.
1. 커피 생두 가공법: 건식법(Natural Process)
건식법은 내추럴 커피로 커피체리를 그대로 말리는 과정이다. 체리를 수확한 후에 펄프를 제거하지 않고 체리를 그대로 건조하는 방법이다. 물이 부족하고 햇빛이 좋은 지역에서 주로 이용하는 전통적인 방법이다. 생두를 12~13% 정도의 수분이 될 때까지 건조한 뒤 생두를 크기별로 나눈다.
체리를 말린 후에 과육을 제거하는데, 이 과정에서 발효도 일어나고 체리의 각종 성분들이 씨앗 부분인 생두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내추럴 커피의 단점은 습식법에 비해 결점두가 생기기 쉽다. 결점두를 기준으로 등급을 정하게 되면 워시드에 비해 등급이 떨어질 수 있다.
생두를 크기별로 나누고 사람 손이나 선별기로 이물질이나 색깔이 변색된 불량 생두를 제거하는 선별과정을 거친다. 내추럴 커피는 생산하는 국가가 제한되어 있다. 건조하면서 날씨가 쨍쨍한 나라에서만 내추럴 커피를 만들 수가 있다. 아라비카 커피의 원산지인 에티오 피는 내추럴 가공방식을 오래전부터 하고 있고 예멘과 브라질도 내추럴 커피를 많이 생산하고 있다.
2. 커피 생두 가공법: 습식법(Washed Process)과 세미워시드
① 습식법(Washed Process)
습식법은 물로 정제하는 방식이다. 커피체리를 벗긴 후에 점액질이 붙은 파치먼트 그대로 물에 담가서 발효시킨 후에 과육을 제거한다. 점액질은 쉽게 제거가 되지 않지만, 물에 담가서 발효과정을 거치면 제거하기가 쉽다. 점액질을 벗긴 콩을 잘 씻어 말려준다.
습식법은 물을 많이 사용하게 되고 점액질을 씻어낸 물이 오염이 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습식법의 장점은 품질 관리가 용이하다는 것이다. 결점두가 적고 발효로 인한 부정적인 맛이 줄어든다. 좋은 품종의 커피를 어디서 어떻게 수확했는지, 커피 씨앗 자체의 품질과 개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방식이다.
상업적인 커피 생산에 좋고 최고급 품질의 스페셜티 커피를 생산할 때도 많이 쓰인다. 다른 가공방법보다 보존성이 좋으며 깔끔한 풍미와 좋은 커피의 향, 바디감, 신맛등의 커피의 맛을 잘 살려주는 방식이다.
② 세미 워시드
세미 워시드는 습식법의 한 방법이다. 워시드 가공법은 커피콩을 물에 담가 발효시킨 뒤에 점액질을 제거하지만 세미 워시드는 기계를 사용하여 물리적 방법으로 점액질을 제거한다. 과육을 제거한뒤에 물에 씻어서 말리는 가공법이다.
물에 담가서 발효하는 과정이 없기 때문에 물을 덜 쓰기 때문에 환경보호에 도움이 된다. 물에 담가서 발효하는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부정적인 결과를 피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고급 커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3. 커피 건조: 햇빛건조[Sun(Natural) drying]와 기계 건조(Mechanical drying)'
① 햇빛건조[Sun(Natural) drying]
곰팡이의 증식은 수분이 13% 이하일 때 억제되기 때문에 수분함량을 12%로 낮추기 위한 과정이다. 커피콩을 건조하는 방식에는 햇빛건조와 기계건조가 있다. 햇빛건조는 내추럴 방식의 커피 가공 방식에서 많이 사용하는 건조방법이다.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된 된 '파티오(Patio, 건조장)에 커피체리를 펼쳐 놓은 후에 갈퀴로 뒤집어 가면서 골고루 말려주는 과정으로 12~21일 정도가 걸린다.
우리나라에서 벼를 수확하고 길에 늘어놓고 말리는 것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또한 그물망이 달려 있는 사각형의 틀을 사용한 건조대에서 말리기도 한다. 건조하는데 5~10일 정도로 시간이 단축되고 오염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노동력이 너무 많이 필요하다.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주로 많이 채택하고 있는데 워시드 방식의 커피빈보다 더 중량감이 있다. 이렇게 건조된 내추럴커피는 과실수의 풍미와 생산지의 토질감등을 더 잘 느낄 수가 있다.
② 기계 건조(Mechanical drying)'
기계건조 시에 커피의 수분 함량이 20% 정도가 되면 커피콩을 커다란 드럼으로 된 로터리 건조기나 타워형의 건조기에 넣고 파치먼트는 40℃, 체리는 45℃의 온도로 건조한다. 인공적으로 열을 가해 건조하는 방법으로 자연건조에 비해 시간이 단축되고 균일한 품질의 원두를 얻을 수 있다.
함께 읽으면 좋은글
커피의 어원과 역사및 커피의 국가별 전파
오늘날 대중들에게 사랑받는 음료인 커피가 어디서 유래되었는지 어떻게 발견하게 되었는지 그 어원과 역사를 살펴보려고 한다. 그리고 에티오피아에서 발견된 커피가 어떤 경로를 통하여 아
eungabee.com
커피나무의 식물학적 특성과 커피품종의 종류와 특징
커피나무가 가지는 식물학적인 특성과 코페아 속에 속하는 커피의 3대 품종 아라비카, 로부스타, 리베리카 종의 일반적인 특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식물학적 특성 커피의 어원은 '
eungabee.com
커피나무 성장과정과 기후와 토양조건 및 커피 수확 방법
커피나무 성장과정과 기후와 토양조건 및 커피 수확 방법
커피 씨앗을 심어서 나무가 자라는 성장과정과 커피를 재배하기에 적절한 기후와 토양, 그리고 커피를 수확하는 3가지 방법 따내기, 훑기, 기계수확에 대해 아래의 글을 통을 알아보도록 하겠습
eungabee.com
커피나무 재배 환경과 재배 과정
커피를 어떤 지역에서든지 재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커피를 재배할 수 있는 지역은 한정되어 있다. 커피를 재배하기 최적인 곳을 커피벨트라고 부른다. 이 커피존 지역의 커피나무 재배 환
eungabee.com
커피체리의 구조와 파치먼트 제거법 및 생두의 출하와 그린빈의 특징
커피체리의 구조와 파치먼트 제거법 및 생두의 출하와 그린빈의 특징
농장에서 수확한 커피 체리의 구조와 명칭, 커피 열매 속 과육을 벗겨내는 방법과 파치먼트를 제거한 후 초록색 커피 빈(그린빈)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커피체리 구조 잘 익
eungabe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