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카티모르 계열의 품종은 다양하다. 말라위에서 개발된 카티모르 129, 프론톤, 에티오피아 종과 교배한 나야리타와 에바루나종의 기원과 생산성, 커피나무 특징 등에 대해 아래의 글에 담아보겠습니다.
1. 카티모르 129(Catimor 129)
커피 잎 녹병과 커피 베리 병에 강해 생산성이 좋고 키가 작아 밀집 재배가 가능한 품종입니다. 말라위, 잠비아, 짐바브웨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이 품종이 재배되는 말라위에서 니카(Nyika)로 불리는 Cat 129는 콜롬비아의 카티모르 품종(카투라와 티모르 하이브리드 1343의 교배종)에서 선발된 품종이다. 1970년대에 케냐를 통해 아프리카에 도입되었다. 그 이후 1990년대 말라위에 도입되었고, 커피 농업 연구소에 의해 커피 잎 녹병과 커피 베리 병에 대한 저항성이 있고 또한 수확량도 많아서 2006년에 품종으로 선별되었다. 말라위에 도입된 카티모르는 EU의 재정 지원을 받아 소규모 커피 생산자들의 농장을 재건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고령화된 품종을 수확량이 높은 카티모르로 점진적으로 바꾸게 되었다. 값비싼 농약을 사용하지 않아도 커피 잎 녹병과 커피베리병을 예방할 수 있는 품종으로 경제적 여유가 없는 농민들이 재배하기 시작했다. 커피 원두의 크기가 크고 밀집 재배로 커피 생산성이 아주 높은 편이다. 커피의 맛과 향미가 괜찮고 질병에 강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지만 생산량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세심한 관리 또한 필요하다.
2. 프론톤(Fronton)과 에바루나(Evaluna)
커피 잎 녹병에 강하며 심은지 2년만에 생산이 가능하며 생산성이 좋은 편이다. 비교적 낮은 고도와 중간 고도에 잘 적응하며, 주로 푸에르토리코에서 발견된다. 품종이 균일하지 못하고 모 개체의 특성이 변하는 '분리'가 있는 경우 커피 잎 녹병에 취약하게 된다. 티모르 하이브리드와 카투라를 교배한 품종으로 브라질의 캄피나스(Campinas) 농업연구소(IAC)에서 푸에르토리코로 도입되었다. 키가 작고 밀도가 높게 재배할 수 있으며 잎은 초록색과 구릿빛이 나고 원두는 중간 정도의 크기이며 커피의 맛과 품질은 괜찮은 편이다. 에바루나는 지상층과 뿌리 성장 사이의 불균형으로 인해 커피나무를 심은지 처음 2년 동안 뿌리를 내리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뿌리가 제대로 활착 하려면 세심한 영양 관리가 필요하며 질소 과잉이 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커피 녹병에 강한 카티모르 계열의 '나리엘리스(Naryelis)와 CATIE Coffee Collection이 선별한 에티오피아 토종 품종인 'ET06'의 1세대 교잡종이다. 프랑스 연구소 CIRAD와 ECOM, PROMECAFE 등이 협력하여 공동으로 개발한 품종이다. 나무 크기가 작고 잎은 연한 구릿빛을 띠며 커피빈 크기는 크다. 밀집으로 재배가 가능하여 생산량이 많고 커피베리병에 저항성이 좋지만 녹병에는 취약하다. 높은 고도에서 잘 재배할 경우 커피의 향미와 품질이 좋다.
3. 나야리타(Nayarita)
F1 잡종에서 채취한 씨앗은 모 개체와 동일한 특성을 갖지 않는 경우, 이를 "분리"라고 한다. 즉, 후세대가 부모 개체와 모양이나 행동이 동일하지 않으며 수확량, 병에 대한 저항성, 품질과 여러 특성들이 잠재적으로 없어질 수도 있다. 이처럼 교잡종 품종들이 형질이 불안하여 정착하기까지 더 많은 시간과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녹병에 강한 카티모르 계열의 나리엘리스(Naryelis)와 에티오피아 토착종인 CATIE 커피 컬렉션의 ET26을 교배한 1세대(F1) 하이브리드 품종이다. 원래는 ORSTOM/IRD 수집하기 위한 미션을 수행하는 과정 중에 에티오피아에서 수집된 품종이다. 나야리타 품종의 선별은 니카라과의 ECOM-CIRAD의 협력으로 생겨난 교잡종이기도 하다. F1 잡종 품종은 커피 농업분야에서 비교적 새로운 품종으로, 지난 15년 동안 일부 국가에서 소수의 품종만이 농부들에게 상업적으로 보급되었다. 커피베리병에 어느 정도 저항력을 갖고 있지만 커피녹병에는 취약하다. 커피나무를 심은지 2년 만에 수확이 가능하고 나무의 키가 작아서 조밀하게 심을 수 있어 생산성이 좋다. 잎은 어두운 구릿빛을 띠고 커피 열매의 크기가 크고 커피의 맛과 향미가 좋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커피품종을 공부하는 이유, 아라비카와 로부스타 품종, 그리고 품종의 가치기준
커피품종을 공부하는 이유, 아라비카와 로부스타 품종, 그리고 품종의 가치기준
널리 알려진 아라비카 종부터 진한 로부스타 종까지 우리가 커피 다양한 커피품종과 공부하는 이유 그리고 대표적인 품종인 아라비카와 로부스타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가 품종을 판단
eungabee.com
아라비카 품종 티피카계열: 티피카, 마라고지페, 파카마라, 문도노보
아라비카 품종 티피카계열: 티피카, 마라고지페, 파카마라, 문도노보
가장 사랑받는 커피 품종인 아라비카 종의 변이종인 티피카, 마라고지페, 파카마라, 문도노보의 기원과 특징 그리고 맛의 특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자. 1. 커피 품종: 티피카(Typica) 가장
eungabee.com
아라비카 버본계열 품종: 버본(브루봉), 카투라, 파카스, 카투아이의 특징
아라비카 버본계열 품종: 버본(브루봉), 카투라, 파카스, 카투아이의 특징
가장 사랑받는 커피 품종인 아라비카 종의 변이종인 버본(브루봉), 카투라, 파카스, 카우아이의 기원과 특징 그리고 맛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브루봉(Bourbon) 아라비카 원두의
eungabee.com
커피 품종의 분류: 에피오피아종, 버본과 티피카, 이입교잡종, F1 하이브리드의 특징
커피 품종의 분류: 에피오피아종, 버본과 티피카, 이입교잡종, F1 하이브리드의 특징
지금은 다양한 커피 품종이 개발되어 그 품종이 아주 다양하다. 커피 품종은 크게 에티오피아 랜드레이스, 버본과 티피카, 이입교잡종, F1 하이브리드 이렇게 4가지로 나눌 수 있다. 각각의 4가지
eungabee.com
아프리카의 부르봉과 티피카 계열 품종: SL 28, SL 34, 부르봉 푸앵튀
아프리카의 부르봉과 티피카 계열 품종: SL 28, SL 34, 부르봉 푸앵튀
아프리카 케냐 지역에서 시작된 원두가 큰 두 가지 품종 SL28, SL34의 기원과 재배환경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레위니옹 섬에서 시작된 부르봉 푸앵튀 품종의 유래와 특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
eungabee.com
버번과 티피카 계열의 종: 빌라사치, 켄트, 이카투, 파체
버번과 티피카 계열의 종: 빌라사치, 켄트, 이카투, 파체
아라비카종의 버번과 티피카에서 생겨난 품종인 빌라사치, 켄트, 이카투, 파체, 잭슨의 기원과 재배환경, 커피나무의 특징, 맛에 대해 아래의 글을 통해 전달하도록 하겠습니다. 1. 빌라사치(Villa
eungabee.com
티피카와 에티오피아 원종: 블루 마운틴, 게이샤, 파나마 게이샤, 자바
티피카와 에티오피아 원종: 블루 마운틴, 게이샤, 파나마 게이샤, 자바
세계적으로 유명한 커피 블루 마운틴과 에티오피아 토착종에서 생겨난 게이샤와 파나마 지역을 대표하는 파나마 게이샤 그리고 자바의 기원과 특징, 재배환경등에 대해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eungabee.com
교잡종인 카티모르 품종과 T-8667, T-5175의 기원과 재배환경과 특징
교잡종인 카티모르 품종과 T-8667, T-5175의 기원과 재배환경과 특징
커피를 재배하는 농부들에게 병충해는 중요하다. 커피 녹병에 강하며 생산성이 좋은 품종 카티모르의 기원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각 나라의 환경에 맞게 개발된 품종인, T-8667, T-5175는 어떤 특
eungabee.com
다양한 카티모르 품종의 세계: 아나카페 14, 카스티요, 루이루 11의 기원과 특징
다양한 카티모르 품종의 세계: 아나카페 14, 카스티요, 루이루 11의 기원과 특징
카티모르 품종은 다양하다. 파카마라와 교배한 아나카페 14, 콜롬비아의 카스티요, 케냐의 수년간의 육종과 연구로 탄생한 루이루 11의 기원과 커피나무와 재배환경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기로
eungabee.com
아프리카 많이 재배되는 커피 품종: 수단 루메, 바티안, 미비리지의 특징
아프리카 많이 재배되는 커피 품종: 수단 루메, 바티안, 미비리지의 특징
아프리카에서 재배되고 있는 컵 품질이 좋은 품종, 수단루메와 바티안, 그리고 미비리지의 역사와 식물학적 특성, 그리고 재배환경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수단 루메(Rume Sudan) 수단
eungabee.com
F1 하이브리드 품종: 센트로 아메리카노, 밀레니오, 스타마야의 특징
F1 하이브리드 품종: 센트로 아메리카노, 밀레니오, 스타마야의 특징
수단 루메와의 교배를 통해서 생겨난 F1 하이브리드 품종인 센트로 아메리카노, 밀레니오, 스타마야의 기원과 재배환경, 그리고 특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센트로 아메리카노(Centroa
eungabee.com
르완다 품종: POP3303/21, 르완다 하라, 부르봉 마야궤스, RAB C15의 기원과 특징
르완다 품종: POP3303/21, 르완다 하라, 부르봉 마야궤스, RAB C15의 기원과 특징
커피가 수출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르완다에서 주로 재배되는 품종인 POP3303/21와 르완다 하라, 부르봉 마야궤스, RAB C15의 기원과 품종의 특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1. POP3303/21와
eungabee.com
인도네시아에서 재배되는 품종: 아뗑, USDA 762, 아비시니아, 오난간장의 특징
인도네시아에서 재배되는 품종: 아뗑, USDA 762, 아비시니아, 오난간장의 특징
아시아에서 커피를 많이 재배하여 수출하는 나라 인도네시아, 그 특유의 흙 내음을 품고 있는 아뗑, USDA 762, 아비시니아와 오난간장의 특징은 어떤 것이 있는지 밝혀보도록 하겠습니다. 1. 아뗑(A
eungabee.com
커피 품종의 세계: 카시오페아와 문도마야, 따비와 핑크버번
커피 품종의 세계: 카시오페아와 문도마야, 따비와 핑크버번
티모르 하이브리드 계열의 카시오페아와 문도마야, 콜롬비아의 따비와 많은 사랑을 받는 품종 핑크버번의 기원과 품종의 특징에 대해서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카시오페아(Casiopea)와 문도
eungabe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