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에스프레소 머신의 보일러는 커피의 맛과 향을 높이기 위해 계속해서 발전해 왔다. 에스프레소를 추출할 때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관리하기 위해서 보일러의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다. 다양한 음료를 만들어 손님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스팀과 추출수의 온도 유지를 위해서 다양한 보일러 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카페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에스프레소 머신의 보일러는 '동' 즉 '구리'로 제작되었다. 구리는 전기와 열 전도성이 좋고 열을 품고 있는 금속 재질이다. 그러면 에스프레소 머신에서 사용하는 보일러의 종류에 대해 살펴보자.
1. 열교환식 보일러
1961년 훼마(FAEMA)의 E61에서 도입한 방식으로 중탕의 원리를 이용하여 만든 것이다. 스팀 보일러의 온도를 이용해서 간접적으로 추출수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열교환식 보일러의 작동원리
2ℓ이상의 물을 130℃까지 가열하는데, 이때 싱글보일러가 스팀을 공급하면서 동시에 물에 잠긴 관모 양의 소형 열교환기를 가열해 준다. 열교환기는 물탱크나 상수도에서 온 냉수를 커피 추출에 알맞은 온도까지 올려준다. 스팀 가열을 위해 수증기를 만들어야 하므로 스팀 보일러의 온도가 123 ~125℃이다.
온도가 높아야 끓는점이 높아지고 압력 또한 올라가기 때문이다. 추출 버튼을 누르면 열교환기의 물과 일반 물이 지나가는 두 관의 물이 만나 섞이면서 설정한 온도의 추출수가 만들어진다.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나오는 물은 뜨겁고 아래쪽의 관을 통하여 나오는 물은 상대적으로 차갑다.
대류현상에 의해서 차가운 물은 밀도가 높아서 아래로 이동하고 뜨거운 물은 밀도가 낮아서 위로 올라가면서 순환하게 된다.
열교환식 보일러의 단점
일반적으로 열교환기의 용량은 300~500ml이고 에스프레소 한잔을 추출하는데 70~80ml의 물이 필요하다. 추출버튼을 누르면 70~80ml의 차가운 물이 유입되므로 열교환기 보일러를 장착한 에스프레소 머신의 온도 편차는 클 수밖에 없다. 그룹헤드 한 곳으로 연속으로 추출을 계속하게 되면 추출수의 온도가 내려가게 된다.
만약에 수십 잔을 피크시간에 연속해서 뽑는 경우 커피 질이 달라지고 균일한 맛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손님이 많은 매장에는 추천하지 않는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CIME머신의 경우 10잔 이상 연속 추출 시 온도가 많이 내려가는 단점이 있다.
2. 독립보일러
독립보일러는 각 그룹 헤드마다 보일러가 장착되어 있고 전기 히터를 각 그룹헤드에 부착하여 물을 데워준다. 독립 보일러의 용량은 300 ~ 1500ml 정도로 듀얼 보일러보다는 적은 용량이다. 그래서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면이 부족하기 때문에 독립 보일러의 경우 프리 히팅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다.
커피 보일러로 찬물이 바로 들어가기 전에 스팀 보일러를 거치면서 물을 한번 데운뒤에 커피 보일러로 물이 들어가는 방식이다. 즉 커피 보일러에 좀 데워진 뜨거운 물이 들어가게 되므로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가 있다. 하지만 보일러 용량이 너무 적어서 온도에 편차가 클 수 있다.
3. 듀얼보일러와 써모블록 보일러
① 듀얼보일러
1970년 라마르조코(La Marzocco)가 개발한 가장 성능이 좋은 머신이다. 보일러를 2개 갖고 있는데 하나는 커피 추출에 사용하는 커피 보일러, 다른 보일러 하나는 스팀 전용으로 사용하는 스팀 보일러이다. 커피 보일러로 추출수를 직접 가열하며 듀얼 보일러의 용량은 3.4L~5L이다.
보일러의 용량이 커서 물의 온도에 있어서 안정성이 좋으며 머신을 오래 사용하지 않아도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30잔 ~100잔 이상의 커피를 연속으로 추출하여 판매하는 매장의 커피를 다 커버할 수 있다.
② 써모블럭 보일러
써모블럭 보일러에서 써모블록(Thermo block)은 전열선이 있는 나선형의 소형관으로, 물이 이곳을 지나면서 순간적으로 데워진다. 써모블록의 단면을 보면 물이 들어갈 수 있는 통로를 여러 개 가지고 있다. 물이 도넛 모양으로 빠르게 회전하면서 데워진다. 이 방법은 가열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킨다는 이점이 있다.
보일러식 에스프레소머신이 예열에 최소 30분이 필요한 반면, 이 머신은 2~3분이면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열의 안전성이 떨어져서 초보자를 위한 가정용 머신과 캡슐머신에만 국한되어 사용하므로 추천하지 않는다. 디지털 온도장치 기술은 스페셜티커피의 선구자이며 시애틀의 에스프레소 비바체(Espresso Vivace) 설립자인 미국인 데이비드 쇼머(David Schomer)가 추친하고, 2005년 라마르조코가 상용화했다.
이들은 함께 에스프레소머신 보일러의 PID(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 이른바 전자온도제어방식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디지털 액정 덕분에 추출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프로슈머와 전문가용 머신에 이 기술이 점차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에스프레소와 머신 그리고 에스프레소 추출 과정
에스프레소는 짧은 시간에 강한 압력을 가하여 추출하는 이탈리아식 커피로 지금은 전 세계 많은 사라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 에스프레소의 역사와 커피 머신 그리고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
eungabee.com
커피원두의 다양한 맛과 에스프레소 추출 원리
우리가 흔히 마시는 커피는 쓴맛만 있는 것이 아니라 단맛과 신맛 등 다양한 맛이 같이 포함되어 있다. 꽃향기와 같은 기분 좋은 산미와 짠맛 그리고 감칠맛까지 커피 한 잔에서 느낄 수 있다.
eungabee.com
에스프레소 추출: 추출분류와 추출농도 및 시간과 온도
에스프레소 추출은 탕제식, 침출식, 많이 사용하는 여과식, 머신에서 사용하는 가압식, 진공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에스프레소 속에 녹아 있는 커피성분의 비율인 추출수율과 농도의 관계를 살
eungabee.com
에스프레소 추출: 크레마와 추출조건과 변수
에스프레소 추출은 한잔의 완벽한 샷을 얻기 위해서 다양한 변수들을 꼼꼼하게 고려하여 조절해야 한다. 에스프레소 추출 시 생성되는 크레마에 대해 살펴보고 추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조건
eungabee.com
에스프레소 추출 과정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정리해본다. 1. 잔 예열하기 작은 잔(60~90ml)에 추출한 에스프레소를 담기 때문에 금방 식는다. 그래서 추출전에 잔을 예열하여 사용한다. 에스프레소 머
eungabee.com
에스프레소 추출시에 영향을 주는 5가지 추출 변수들
목차 1. 로스팅 포인트 로스팅 강도를 뜻하는 로스팅 포인트는 원두의 상태를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소로, 추출변수를 조정하기에 앞서 고려해야 하는 부분이다. 로스팅 포인트와 다른 추출변수
eungabee.com
커피추출에 좋은 물: 경도와 알칼리가 커피맛에 미치는 영향
커피 추출에 좋은 물: 경도와 알칼리가 커피맛에 미치는 영향
커피는 생두를 정제, 건조, 로스팅과 같은 가공과정을 거쳐 커피 추출액이 된다.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물이 꼭 필요하다. 실제로 커피 추출액의 구성요소 중 고형성분은 단 2%에 불과하고
eungabee.com
에스프레소 머신의 종류와 다양한 추출도구들
에스프레소 내릴 때 사용하는 머신에는 수동식, 반자동, 전자동 머신이 있다. 터키식, 프렌치프레소, 핸드드립 등 다양한 도구를 이용하여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
eungabee.com
에스프레소 머신의 작동 원리와 머신의 유지 보수 관리법
에스프레소 머신의 작동 원리와 머신의 유지 보수 관리법
커피 추출을 위한 에스프레소 머신에 전원이 켜지면 배수관을 통해 공급된 물을 사용하여 에스프레소 추출이 이루어진다. 에스프레소 머신은 꼼꼼하게 관리할 경우 시간과 경제적 비용을 줄일
eungabee.com
에스프레소 머신의 외부와 내부구조
에스프레소 머신은 보일러의 압력과 모터를 이용하여 빠른 시간 안에 추출하는 현대식 추출방식이다. 현대 과학의 결정판인 커피머신이 발명되고 발달되면서 에스프레소가 이 시대를 대표하는
eungabee.com
에스프레소 머신: 가정용과상업용 그리고 전자동과캡슐머신의 특징
에스프레소 머신: 가정용과상업용 그리고 전자동과캡슐머신의 특징
1. 에스프레소 머신의 모델 가장 많이 보급된 모델의 머신은 인젝션 머신(Injection machine)이라고 부른다. 1961년 카를로 에르네스토 발렌테(Carlo Ernesto Valente)가 고안한 E61은 40여 년동안 에스프레소
eungabee.com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 다양한 도구들: 모카포트, 사이펀, 커피메이커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 다양한 도구들: 모카포트, 사이펀, 커피메이커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기구들은 다양하다. 유럽에서 오랫동안 사용해 온 모카포트, 진공상태를 이용하여 커피를 내리는 사이펀, 그리고 쉽게 이용가능한 커피 메이커가 있다.
eungabee.com
에스프레소의 시음 방법과 크레마 그리고 프레그런스, 아로마, 플레이버 용어 이해
에스프레소의 시음 방법과 크레마 그리고 프레그런스, 아로마, 플레이버 용어 이해
다양한 기구를 통해 추출한 에스프레소는 와인처럼 맛을 먼저 보고 시각적으로 크레마를 확인한 뒤에 커피에서 나는 향을 통해 떠오르는 것을 생각해 본다. 그리고 혀의 반응과 함께 입안에 남
eungabee.com
에스프레소 세팅을 할때 고려해야 될 사항
에스프레소 세팅을 하기 전에 먼저 카페의 컨셉과 상권에 맞는 컵 사이즈를 정해야 합니다. 1. 컵사이즈 ● 컵사이즈는 카페의 컨셉과 카페의 상권에 따라서 정해진다. ● 오피스 상권에 바쁜 테
eungabee.com
프리 인퓨전과 바리스타의 스킬
1. 프리인퓨전의 원리 ● 프리 인퓨전은 고압으로 추출하기 전에 추출수로 커피가루를 적셔서 추출이 잘 될 수 있도록 준비시켜 추출이 안정적으로 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이다. ● 핸드드
eungabee.com
바리스타의 역량: 에스프레소 머신의 추출 온도와 맛의 관계
바리스타의 역량: 에스프레소 머신의 추출 온도와 맛의 관계
1. 추출온도 ① 에스프레소 온도를 어떻게 세팅하는지에 따라서 추출 온도가 바뀐다. ● 분쇄도, 도징양, 추출시간, 추출 양을 똑같이 맞추어도 추출 온도를 다르게 설정하면 추출속도가 바뀌게
eungabee.com
그라인더 어떻게 선택할 것인가? 구매전 고려사항은?
그라인더를 선택하는 것에 대한 정답은 없다. 어떤 맛을 추구하며 어떤 환경에서 그라인더를 사용할 것인지 먼저 정해야 한다. 그리고 각 그라인더가 가진 특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그라인더를
eungabee.com
탬퍼의 종류와 구조 및 베이스의 형태와 재질
원두를 그라인더에서 분쇄한뒤에 포터필터에 담는다. 침칠봉, 탬퍼, 레벨링툴을 사용하여 분쇄된 원두를 고르게 담아준다. 이때 어떻게 하는지가 에스프레소 추출과 연관이 된다. 우리가 많이
eungabee.com
필터 바스켓의 종류와 VST필터와 IMS필터의 특징과 장점
필터 바스켓의 종류와 VST필터와 IMS필터의 특징과 장점
포터필터의 부품 가운데 분쇄원두를 담는 금속 재질의 필터로, 필터 인서트(Filter Insert)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지름이 54~58mm인 필터 바스켓을 사용하며 추출량에 따라 1잔용과 2잔용으로 나눌
eungabe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