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기구들은 다양하다. 유럽에서 오랫동안 사용해 온 모카포트, 진공상태를 이용하여 커피를 내리는 사이펀, 그리고 쉽게 이용가능한 커피 메이커가 있다.
1. 모카포트(Mocha Pot)
모카포트(Mocha Pot)는 1822년 루이-베르나르 라보(Louis-Bernard Rabaut)의 '원뿔형 세탁통'에서 영감을 얻어 만든 커피추출기구이다. 1933년 알폰소 비알레티(Alfonso Bialetti)가 특허를 얻어 '이탈리아 커피추출기구'라 부르기도 합니다. 비알레티는 지금도 계속 모카포트를 생산하고 있고 여전히 인기를 얻고 있다. 예전부터 알루미늄으로 만들어 왔지만 오늘날은 스테인리스로도 만들고 있고 모양과 크기가 다양하다.
모카포트는 강하면서 진한 에스프레소에 가까운 커피를 만들 수 있다. 에스프레소머신은 압력이 8~10 기압이지만 모카포트는 1.5 기압이다. 추출할 때 끓는 물의 온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주의하지 않으면 커피의 쓴 성분들이 추출되는 경향이 있다. 가열된 물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압력을 이용해서 추출하는 기구이다. 유럽에선 흔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마니아들만 아는 추출기구이다.
모카포트로 추출하는 방법
바스켓에 커피가루 15~20그램 정도를 넣는다. 바스켓에 담긴 커피가루의 표면을 평평하게 만들어준다. 전기포트로 물을 끓인 뒤에 컨테이너의 밸브 아래까지 뜨거운 물(150ml 정도)을 채워준다. 컨테이너를 돌려 보일러와 결합한 뒤에 모카포트를 불 위에 올려둔다.
커피가 올라오면 불을 낮추고 1분이 지나면 물이 모두 올라오길 기다리지 말고 불에서 내려 컵에 담으면 된다. 커피 추출시간이 1분 이하이면 커피가루의 입자가 너무 굵은 것이고 1분 이상이면 너무 고운 것이다.
모카포트로 내린 커피는 수증기가 오일성분까지 씻어 내리기 때문에 여과지가 있는 커피메이커와는 또 다른 지용성의 향이 나온다. 다소 거칠지만 고전적인 맛을 즐길 수 있다.
2. 사이펀(Siphon)
버큠포트(Vacuum Pot)는 수증기의 압력과 물의 삼투압 현상을 이용해서 추출하는 진공방식의 추출법이다. 1840년 해양학자인 로버트 나피어(Robert Napier)에 의해 발명되었다.
커피 맛이 섬세하고 아주 깔끔하며 추출되는 과정이 아름답지만 시간이 많이 걸리고 번거롭기 때문에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다. 하지만 커피를 좋아하는 마니아들은 한 번쯤 시도해 보는 방식으로 일본을 거치면서 사이펀(Siphon)이라는 이름의 상품으로 유통되고 있다.
사이펀으로 커피 추출하는 방법
버큠 포트는 상하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는 구조이다. 그 사이에 윗부분에 고정된 필터가 있다. 물을 아래 부분에 넣고 알코올램프로 천천히 가열하면 끓기 시작하면서 증기압과 삼투압에 의해 커피가루가 있는 위쪽으로 올라간다. 불을 끄면 커피액이 필터를 거쳐서 아래쪽으로 내려오게 된다.
사이펀을 사용하여 추출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물 300ml를 90~92℃로 끓인다. 온도계가 없는 경우 물이 끓기 시작하면 뚜껑을 덮지 않고 45초 기다려준다. 필터에 뜨거운 물을 부어서 씻어준다. 로드에 필터를 넣고 스프링을 이용해 튜브에 고정한다. 필터 위에 천 필터를 넣고, 스틱으로 중앙에 맞춰놓는다.
플라스크의 '2잔'선까지 뜨거운 물을 붓는다. 로드를 플라스크에 넣는데 완전히 덮지 않는다. 가스램프를 켜고 플라스크를 그 위에 오게 놓는다. 물이 끓으면 로드와 플라스크를 완전히 결합한다. 열 때문에 뜨거운 물이 튜브를 통해 로드로 올라간다.
물이 모두 로드로 이동하면 불을 조절해 물온도를 90~92℃로 맞춘다. 로드에 커피가루 15~20g을 넣고 타이머를 작동시킨 후, 스틱으로 커피를 휘저어 수분을 충분히 머금게 한다. 그대로 1분 동안 우린다. 가스램프를 끄면 플라스크 안이 진공상태가 되고, 추출된 커피는 중력과 흡인력에 의해 튜브를 통해 로드에서 플라스크로 내려간다. 이때 필터에서 커피가루와 추출된 커피를 분리한다. 이 단계가 30~40초 걸린다. 커피 내리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면 커피가루가 너무 고운 것이므로 굵기를 조절해서 사용하면 된다.
3. 커피 메이커
전동 커피 메이커는 1950년대에 발명되었지만 1970년대가 되어서야 비로소 대중화되었다. 물통에 있는 차가운 물이 중력에 의해서 보일러실로 이동하면 전열선이 90℃이상 끓이고, 뜨거운 물이 튜브를 통해 샤워헤드로 이동한다. 그리고 종이필터에 담겨 있는 커피가루 위로 천천히 흐른다. 커피메이커는 뜨거운 물로 필터를 충분히 씻어서 종이맛이 커피에 배어 나오지 않게 한다.
또 다른 방법은, 물통에 물을 붓고 커피 없이 커피메이커를 작동시킨다. 물통에 물을 붓고 타이머로 원하는 추출 시간을 입력하거나 곧바로 작동시켜 커피를 내린다. 추출한 커피는 커피메이커에서 보온 상태로 오래 두지 않는다. 추출 후 바로 마시거나, 보온병에 담아 최대 20~30분 안에 마신다. 그 이상 지나면 커피가 산화되어 맛이 변하게 된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에스프레소와 머신 그리고 에스프레소 추출 과정
에스프레소는 짧은 시간에 강한 압력을 가하여 추출하는 이탈리아식 커피로 지금은 전 세계 많은 사라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 에스프레소의 역사와 커피 머신 그리고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
eungabee.com
커피원두의 다양한 맛과 에스프레소 추출 원리
우리가 흔히 마시는 커피는 쓴맛만 있는 것이 아니라 단맛과 신맛 등 다양한 맛이 같이 포함되어 있다. 꽃향기와 같은 기분 좋은 산미와 짠맛 그리고 감칠맛까지 커피 한 잔에서 느낄 수 있다.
eungabee.com
에스프레소 추출: 추출분류와 추출농도 및 시간과 온도
에스프레소 추출은 탕제식, 침출식, 많이 사용하는 여과식, 머신에서 사용하는 가압식, 진공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에스프레소 속에 녹아 있는 커피성분의 비율인 추출수율과 농도의 관계를 살
eungabee.com
에스프레소 추출: 크레마와 추출조건과 변수
에스프레소 추출은 한잔의 완벽한 샷을 얻기 위해서 다양한 변수들을 꼼꼼하게 고려하여 조절해야 한다. 에스프레소 추출 시 생성되는 크레마에 대해 살펴보고 추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조건
eungabee.com
에스프레소 추출 과정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정리해본다. 1. 잔 예열하기 작은 잔(60~90ml)에 추출한 에스프레소를 담기 때문에 금방 식는다. 그래서 추출전에 잔을 예열하여 사용한다. 에스프레소 머
eungabee.com
에스프레소 추출시에 영향을 주는 5가지 추출 변수들
목차 1. 로스팅 포인트 로스팅 강도를 뜻하는 로스팅 포인트는 원두의 상태를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소로, 추출변수를 조정하기에 앞서 고려해야 하는 부분이다. 로스팅 포인트와 다른 추출변수
eungabee.com
커피추출에 좋은 물: 경도와 알칼리가 커피맛에 미치는 영향
커피 추출에 좋은 물: 경도와 알칼리가 커피맛에 미치는 영향
커피는 생두를 정제, 건조, 로스팅과 같은 가공과정을 거쳐 커피 추출액이 된다.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물이 꼭 필요하다. 실제로 커피 추출액의 구성요소 중 고형성분은 단 2%에 불과하고
eungabee.com
에스프레소 머신의 종류와 다양한 추출도구들
에스프레소 내릴 때 사용하는 머신에는 수동식, 반자동, 전자동 머신이 있다. 터키식, 프렌치프레소, 핸드드립 등 다양한 도구를 이용하여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
eungabee.com
에스프레소 머신의 작동 원리와 머신의 유지 보수 관리법
에스프레소 머신의 작동 원리와 머신의 유지 보수 관리법
커피 추출을 위한 에스프레소 머신에 전원이 켜지면 배수관을 통해 공급된 물을 사용하여 에스프레소 추출이 이루어진다. 에스프레소 머신은 꼼꼼하게 관리할 경우 시간과 경제적 비용을 줄일
eungabee.com
에스프레소 머신의 외부와 내부구조
에스프레소 머신은 보일러의 압력과 모터를 이용하여 빠른 시간 안에 추출하는 현대식 추출방식이다. 현대 과학의 결정판인 커피머신이 발명되고 발달되면서 에스프레소가 이 시대를 대표하는
eungabee.com
에스프레소 머신: 가정용과상업용 그리고 전자동과캡슐머신의 특징
에스프레소 머신: 가정용과상업용 그리고 전자동과캡슐머신의 특징
1. 에스프레소 머신의 모델 가장 많이 보급된 모델의 머신은 인젝션 머신(Injection machine)이라고 부른다. 1961년 카를로 에르네스토 발렌테(Carlo Ernesto Valente)가 고안한 E61은 40여 년동안 에스프레소
eungabee.com
에스프레스 머신의 온도를 유지하는 방법: 보일러 시스템
에스프레스 머신의 온도를 유지하는 방법: 보일러 시스템
에스프레소 머신의 보일러는 커피의 맛과 향을 높이기 위해 계속해서 발전해 왔다. 에스프레소를 추출할 때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관리하기 위해서 보일러의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다.
eungabee.com
에스프레소의 시음 방법과 크레마 그리고 프레그런스, 아로마, 플레이버 용어 이해
에스프레소의 시음 방법과 크레마 그리고 프레그런스, 아로마, 플레이버 용어 이해
다양한 기구를 통해 추출한 에스프레소는 와인처럼 맛을 먼저 보고 시각적으로 크레마를 확인한 뒤에 커피에서 나는 향을 통해 떠오르는 것을 생각해 본다. 그리고 혀의 반응과 함께 입안에 남
eungabee.com
에스프레소 세팅을 할때 고려해야 될 사항
에스프레소 세팅을 하기 전에 먼저 카페의 컨셉과 상권에 맞는 컵 사이즈를 정해야 합니다. 1. 컵사이즈 ● 컵사이즈는 카페의 컨셉과 카페의 상권에 따라서 정해진다. ● 오피스 상권에 바쁜 테
eungabee.com
프리 인퓨전과 바리스타의 스킬
1. 프리인퓨전의 원리 ● 프리 인퓨전은 고압으로 추출하기 전에 추출수로 커피가루를 적셔서 추출이 잘 될 수 있도록 준비시켜 추출이 안정적으로 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이다. ● 핸드드
eungabee.com
바리스타의 역량: 에스프레소 머신의 추출 온도와 맛의 관계
바리스타의 역량: 에스프레소 머신의 추출 온도와 맛의 관계
1. 추출온도 ① 에스프레소 온도를 어떻게 세팅하는지에 따라서 추출 온도가 바뀐다. ● 분쇄도, 도징양, 추출시간, 추출 양을 똑같이 맞추어도 추출 온도를 다르게 설정하면 추출속도가 바뀌게
eungabee.com
그라인더 어떻게 선택할 것인가? 구매전 고려사항은?
그라인더를 선택하는 것에 대한 정답은 없다. 어떤 맛을 추구하며 어떤 환경에서 그라인더를 사용할 것인지 먼저 정해야 한다. 그리고 각 그라인더가 가진 특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그라인더를
eungabee.com
탬퍼의 종류와 구조 및 베이스의 형태와 재질
원두를 그라인더에서 분쇄한뒤에 포터필터에 담는다. 침칠봉, 탬퍼, 레벨링툴을 사용하여 분쇄된 원두를 고르게 담아준다. 이때 어떻게 하는지가 에스프레소 추출과 연관이 된다. 우리가 많이
eungabee.com
필터 바스켓의 종류와 VST필터와 IMS필터의 특징과 장점
필터 바스켓의 종류와 VST필터와 IMS필터의 특징과 장점
포터필터의 부품 가운데 분쇄원두를 담는 금속 재질의 필터로, 필터 인서트(Filter Insert)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지름이 54~58mm인 필터 바스켓을 사용하며 추출량에 따라 1잔용과 2잔용으로 나눌
eungabee.com